예산
문제 설명
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
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. 그러나,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
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. 그래서 최대한 많은
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.
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
합니다. 예를 들어 1,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,000원을 지원해야
하며, 1,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.
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
주어질 때,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
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 조건
👾d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이며, 길이(전체 부서의
개수)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👾d의 각 원소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을 나타내며, 부서별 신청 금액은 1
이상 100,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👾budget은 예산을 나타내며, 1 이상 10,000,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입출력 예시
d | budget | result |
---|---|---|
[1,3,2,5,4] | 9 | 3 |
[2,2,3,3] | 10 | 4 |
👾내가 한 풀이
배열을 sort를 이용해서 먼저 정렬을 해줍니다. 다음으로는 반복문을 사용하여 num에 배열을 값을 더해주고, 그때마다 answer를 1씩 더해줍니다. 마지막으로 if문을 사용해서 num이 예산의 금액을 넘을때 answer를 빼줍니다.
let d = [1,3,2,5,4],
budget = 9;
function solution(d, budget) {
var answer = 0;
let num = 0;
//정렬 먼저
d.sort((a,b) => a - b);
for(let i = 0; i < d.length; i++){
answer++;
num += d[i];
if(num > budget){
answer--;
}
}
return answer;
}
👾다른 풀이
forEach문을 사용해서 풀수도 있군요! 오히려 이쪽이 한눈에 잘들어 오는것 같네요!(이제 슬슬... 푸는것도 힘들어져 간다...🥲)
function solution(d, budget) {
let answer = 0;
let money = 0;
d.sort((a,b) => a-b).forEach(function(val){
money += val;
if(money <= budget){
answer++;
}
})
return answer;
}
'알고리즘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2016년 (1) | 2022.11.30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(1) | 2022.11.30 |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3진법 뒤집기 (1) | 2022.11.27 |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행렬의 덧셈 (1) | 2022.11.27 |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(1) | 2022.11.25 |
댓글